맨위로가기

올가 알렉산드로브나 여대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올가 알렉산드로브나 여대공은 러시아 황제 알렉산드르 3세의 막내딸로, 1882년에 태어났다. 어린 시절 검소한 환경에서 자랐으며, 1901년 페터 알렉산드로비치 공작과 결혼했으나 불행한 결혼 생활을 했다. 이후 니콜라이 쿨리코프스키와 재혼하여 두 아들을 낳았고, 제1차 세계 대전 중 간호사로 활동했다. 러시아 혁명 이후 가족과 함께 망명 생활을 시작하여 덴마크, 캐나다에서 거주했다. 2,000점 이상의 그림을 남긴 화가이기도 하며, 1960년 캐나다 토론토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덴마크에서 캐나다로 이민간 사람 - 에밀리 울레루프
    덴마크 출신 배우 에밀리 울레루프는 밴쿠버 영화학교 졸업 후 2006년 《배틀스타 갤럭티카》로 데뷔하여 영화와 드라마에서 활발히 활동하며 2019년 레오상 드라마 시리즈 부문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 러시아에서 캐나다로 이민간 사람 - 비탈릭 부테린
    비탈릭 부테린은 이더리움의 공동 창립자이자 창안자이며,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분산형 소프트웨어 개발 플랫폼 개발에 기여하고, 다양한 기부 활동과 저술 활동을 펼쳤다.
  • 러시아에서 캐나다로 이민간 사람 - 나탈리 글레보바
    나탈리 글레보바는 러시아 출생의 캐나다 모델이자 미인 대회 우승자이며, 2005년 미스 유니버스 캐나다와 미스 유니버스에서 우승하고 HIV/AIDS 인식 개선 활동을 펼쳤다.
  • 러시아 백군 관련자 - 라브르 코르닐로프
    라브르 코르닐로프는 러시아 제국 군인으로, 러일 전쟁과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으며, 러시아 혁명 당시 쿠데타 시도 실패 후 백군에 가담하여 의용군을 지휘하다 전사했고, 그의 사건은 러시아 혁명의 주요 분기점으로 평가받는다.
  • 러시아 백군 관련자 - 로만 폰 웅게른슈테른베르크 남작
    로만 폰 웅게른슈테른베르크 남작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출신의 군인으로, 제1차 세계 대전과 러시아 내전에 참전하여 백군으로 활동하며 군주제 복고를 시도했으나 붉은 군대에 패배하여 처형되었다.
올가 알렉산드로브나 여대공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올가 알렉산드로브나, 28세
올가 알렉산드로브나, 1910년경
러시아어 이름Ольга Александровна Романова
로마자 표기Ol'ga Aleksandrovna Romanova
칭호러시아 대공녀
출생일1882년 6월 13일
출생지러시아 제국 상트페테르부르크 페테르고프
사망일1960년 11월 24일
사망지캐나다 온타리오주 토론토
묻힌 곳토론토 요크 공동묘지
종교러시아 정교회
가족 관계
왕조홀슈타인-고토르프-로마노프 왕조
아버지알렉산드르 3세 (러시아)
어머니마리아 표도로브나 (덴마크)
배우자올덴부르크 공작 표트르 알렉산드로비치 (1901년 결혼, 1916년 이혼)
니콜라이 쿨리코프스키 (1916년 결혼, 1958년 사별)
자녀티혼 니콜라예비치 (1917–1993)
구리 니콜라예비치 (1919–1984)

2. 어린 시절

로마노프 왕가의 흑백 사진. 올가는 젊은 소녀로, 앉아 있는 턱수염을 기른 대머리 아버지의 팔에 기대고 있다. 아버지는 군복을 입고 있다. 나이 많은 아이들과 황후가 그룹을 완성한다.
올가(정면 중앙)와 아버지 알렉산드르 3세, 1888년. 뒷줄(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그녀의 형제와 어머니: 미하일 대공, 마리아 황후, 니콜라이 대공(후일 니콜라이 2세), 크세니아 대공녀 및 게오르기 대공.


올가는 알렉산드르 3세 황제와 그의 배우자 마리아 황후(전 덴마크의 다그마르 공주) 사이에서 태어난 막내딸이다. 그녀는 1882년 6월 13일, 상트페테르부르크 서쪽에 위치한 페테르호프 궁전에서 태어났다. 그녀의 탄생을 축하하기 위해 페트로파블로프스크 요새에서는 101발의 예포가 발사되었고, 러시아 제국 전역에서도 축포가 울렸다.[1] 어머니 마리아 황후는 언니인 웨일스 공비 알렉산드라의 조언에 따라 영국인 보모 엘리자베스 프랭클린에게 올가의 양육을 맡겼다.[1]

당시 러시아 황족은 암살 위협에 자주 노출되었기 때문에, 올가는 안전을 위해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서쪽으로 약 80km 떨어진 가치나의 시골 궁전에서 성장했다. 궁전 생활에도 불구하고 올가와 형제들의 생활 환경은 검소하고 엄격했다.[2] 그들은 딱딱한 야전 침대에서 잠을 자고, 새벽에 일어나 찬물로 씻었으며, 아침 식사로는 간단한 죽을 먹었다.[2]

1888년, 올가는 처음으로 가치나를 떠나 가족과 함께 코카서스를 방문했다. 10월 29일, 돌아오는 길에 황족이 탄 열차가 보르키라는 작은 마을 근처에서 고속으로 달리던 중 탈선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올가의 부모와 네 명의 언니, 오빠들은 식당 칸에서 점심 식사 중이었는데, 열차가 심하게 흔들리며 탈선했고 객차가 부서지고 무거운 철제 지붕이 무너져 내렸다. 당시 차르가 무너진 지붕을 들어 올려 다른 가족들이 탈출할 수 있도록 도왔다는 이야기가 전해졌으나,[3] 이는 나중에 사실이 아닐 가능성이 제기되었다.[4] 이 사고로 21명이 사망했다. 마리아 황후는 부상자들을 돌보며 자신의 옷을 찢어 임시 붕대를 만들기도 했다.[6] 공식 조사 결과 이 사고는 단순 사고로 결론 내려졌지만,[5] 선로에 폭탄 두 개가 설치되어 있었다는 암살 시도설이 퍼지기도 했으나 이는 사실이 아니었다.[6]

소녀로서의 올가의 유화
발렌틴 세로프가 1893년에 그린 올가 알렉산드로브나 대공녀의 초상화


가족은 매우 독실한 러시아 정교회 신자였다. 크리스마스부활절에는 축제가 열렸지만, 사순절 기간에는 고기, 유제품, 모든 종류의 오락이 금지되는 등 엄격하게 지켜졌다.[9]

마리아 황후는 어린 올가에게 다소 거리감을 두고 격식적으로 대했으며, 둘의 관계는 평생 원만하지 못했다.[10] 그러나 올가는 아버지 알렉산드르 3세, 그리고 바로 위의 남동생 미하일과는 매우 가까운 관계를 유지했다. 세 사람은 함께 가치나 숲을 산책하는 것을 즐겼고, 차르는 올가와 미하일에게 숲에서 필요한 지식들을 가르쳐주었다.[11] 올가는 아버지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아버지는 제게 모든 것이었습니다. 일에 몰두하시면서도 매일 30분을 기꺼이 내주셨습니다. ... 아버지는 저에게 '몹소폴리스'라는 상상의 도시를 펜과 잉크로 그린 매우 오래된 앨범을 보여주셨는데, 몹스(퍼그 강아지)가 살고 있었습니다. 아버지는 저에게 비밀로 보여주셨고, 저는 아버지와 아버지의 어린 시절 비밀을 공유하게 되어 매우 기뻤습니다."[12]

가족 휴가는 여름에 페테르호프에서 보냈고, 올가의 조부모와 함께 덴마크에서도 보냈다.[13] 그러나 1894년, 올가의 아버지는 점점 더 병들어 갔고, 덴마크로의 연례 여행은 취소되었다.[14] 1894년 11월 13일, 그는 49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12세였던 올가에게 정서적 충격은 엄청났고,[15] 그녀의 맏형이자 새로운 황제 니콜라이 2세는 올가의 나중 판단으로는 그가 감당하기 어려운 역할로 밀려났다.[16]

2. 1. 교육

올가 여대공과 그녀의 형제들은 집에서 개인 교사에게 교육을 받았다. 교육 과목에는 역사, 지리, 러시아어, 영어, 프랑스어, 그림 그리기, 등이 포함되었다.[7] 승마와 같은 신체 활동도 중요하게 여겨져 어린 나이부터 배웠으며, 아이들은 모두 능숙한 기수가 되었다.[8]

3. 궁정 생활

올가는 1899년 17세의 나이로 사교계에 데뷔할 예정이었으나, 오빠 러시아 대공 게오르기 알렉산드로비치의 사망으로 1년 연기되어 1900년에 첫 공식 활동을 시작했다.[17] 그녀는 이 경험을 매우 부정적으로 회고하며 "마치 우리에 갇힌 동물 같았어요. 마치 처음으로 대중에게 전시된 것 같았어요."라고 훗날 술회했다.[18] 1901년부터는 러시아 제국군의 제12 아크티르스키 후사르 연대의 명예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이 연대는 쿨름 전투에서 나폴레옹 보나파르트를 상대로 승리하여 유명해진 부대였다.[19]

왼쪽부터: 올가, 라타나코신 왕국의 출라롱콘 국왕, 마리 황태후, 니콜라이 2세 황제, 왕세자 와치라웃이 1897년 국왕의 러시아 방문 중


2009년 상트페테르부르크 바랴틴스키 저택


1900년, 올가는 먼 친척인 올덴부르크 공작 페터 알렉산드로비치와 교류하기 시작했고,[20] 이듬해 그의 청혼을 받아들였다.[22] 1901년 8월 9일(구력 7월 27일), 19세의 올가는 33세의 페터와 결혼했다.[22] 그러나 이 결혼은 불행했으며, 부부 관계는 형식적인 것에 그쳤다.[24][25] 올가는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차이콥스키 거리 46번지에 있는 저택(구 바랴틴스키 저택)에 거주하며[29] 자신의 미술 스튜디오를 가지고 있었다.[28] 결혼 생활의 불행으로 그녀는 한때 우울증과 탈모를 겪기도 했다.[24]

올가는 보로네시주 라몬에 있는 자신의 영지 "올기노"에서 많은 시간을 보냈다.[30] 그녀는 사비를 들여 마을 학교를 지원하고 병원을 설립하는 등 자선 활동에 힘썼으며,[31] 병원에서 직접 기본적인 의료 기술과 간호법을 배우기도 했다.[32] 또한 독실한 정교회 신자로서 직접 그린 성화를 제작하여 자선 활동에 배포했다.[31]

1903년 4월, 올가는 군사 열병식에서 오빠 미하일 대공의 소개로 청색 흉갑 기병 근위대 장교인 니콜라이 쿨리코프스키를 만났다.[34] 이후 올가는 남편에게 이혼을 요구했으나 거절당했다.[35]

1904년부터 1906년까지 남편 페터 공작이 차르스코예 셀로에서 군 복무를 하게 되면서, 올가는 이곳에서 오빠 니콜라이 2세 황제 가족과 많은 시간을 보냈다.[39] 그녀는 황제의 네 딸, 즉 자신의 조카들과 가까운 관계를 유지했으며,[40] 1906년부터 1914년까지 매주 주말 조카들을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사교 행사에 데리고 다녔다.[40] 특히 자신의 대녀이기도 한 막내 조카 러시아의 아나스타시아 니콜라예브나 대공녀를 매우 아꼈다.[41] 이 시기 올가는 황실과 가까워진 라스푸틴을 만났지만, 그의 능력에 대해 회의적이었고 사적으로는 그를 싫어했다.[42] 한편, 오빠 미하일 대공이 평민 여성과의 결혼 문제로 가족과 갈등을 빚으면서 올가와의 관계도 소원해졌다.[43]

Grand Duchess Anastasia Nikolaevna
올가의 조카 아나스타샤는 1918년에 살해되었지만, 그녀의 유해는 올가가 죽은 지 여러 해가 지난 후에야 발견되었다. 많은 사칭자들이 아나스타샤라고 주장했다.


20세기 초 러시아는 러일 전쟁(1904-1905) 패배와 1905년 러시아 혁명 등으로 정치적 불안이 고조되던 시기였다. 1905년 주현절에는 겨울 궁전이 포격을 받는 사건이 발생했고, 이때 올가와 어머니 마리아 황태후는 유리 파편에 맞기도 했으나 다치지는 않았다.[44] 3주 후에는 피의 일요일 사건(1905년 1월 22일, 구력 1월 9일)이 발생했고, 한 달 뒤에는 올가의 삼촌인 러시아 대공 세르게이 알렉산드로비치가 암살되었다.[46] 전국적으로 봉기가 일어나고 해군 일부가 반란을 일으키는 등[47] 혼란이 계속되었다. 올가는 자유주의 개혁가 표트르 스톨리핀의 총리 임명을 지지했으나, 그 역시 1911년에 암살되었다.[48] 이러한 시대적 불안과 개인적인 문제들이 겹치면서 올가는 극심한 스트레스를 받았고, 1912년 어머니와 함께 잉글랜드를 방문하던 중 신경 쇠약을 겪기도 했다.[49] 당시 혈우병을 앓던 아들 러시아 차르비치 알렉세이 니콜라예비치의 건강 문제로 알렉산드라 황후 역시 건강이 좋지 않았기에,[50] 올가가 황후를 대신해 공식 석상에 나서거나 오빠 니콜라이 2세와 함께 내륙 지방을 여행하는 일도 있었다.[51]

3. 1. 첫 번째 결혼

1901년, 올가는 어머니 마리아 황후와의 관계를 피하고자 첫 남편인 표트르 알렉산드로비치 올덴부르크 공작과 결혼했다. 그러나 이 결혼은 시작부터 순탄하지 않았다. 표트르는 주변에서 동성애자로 여겨졌으며 여성에게 관심을 보이지 않았고 도박을 좋아했기에, 올가는 곧 남편에게 실망했다. 두 사람 사이에는 부부로서의 성적인 관계가 전혀 없었다.

결혼 생활 2년 후, 올가는 군인인 니콜라이 쿨리코프스키를 만나 사랑에 빠졌다. 올가는 표트르에게 이혼을 요구했으나, 표트르는 이를 거절했다. 올가의 오빠인 니콜라이 2세 역시 이들의 이혼에 반대했다. 니콜라이 2세는 종교적인 이유로 이혼 자체를 부정적으로 보았을 뿐만 아니라, 황족이 평민과 결혼하는 귀천상혼 역시 왕족의 스캔들이 될 수 있다는 이유로 반대하는 입장이었다. 이는 니콜라이 2세가 자신의 동생 미하일 대공이 평민 출신 여성과 결혼하는 것을 강하게 반대한 것과 같은 맥락이었다.

결국 1914년 올가와 표트르는 별거에 들어갔고, 1916년에 정식으로 이혼이 성립되었다. 첫 남편 표트르와의 사이에는 자녀가 없었다.

3. 2. 니콜라이 쿨리코프스키와의 만남

1901년, 올가는 어머니 마리아 황후와의 불화를 피하고자 첫 남편인 표트르 알렉산드로비치 올덴부르크 공작과 결혼했지만, 두 사람 사이에는 성적인 관계가 전혀 없었다. 표트르는 주변에서 동성애자로 여겨질 만큼 여성에게 관심을 보이지 않았고 도박을 좋아했기 때문에, 올가는 그에게 곧 실망감을 느꼈다.

결혼 2년 후인 1903년경, 올가는 군인 니콜라이 쿨리코프스키를 만나 사랑에 빠졌다. 올가는 남편 표트르에게 이혼을 요구했지만, 그는 이를 거절했다. 오빠인 니콜라이 2세 역시 이혼에 반대했는데, 이는 그의 종교적 신념과 더불어 왕족의 스캔들이 될 수 있는 귀천상혼을 꺼렸기 때문이다. 니콜라이 2세는 동생 미하일 대공이 평민 출신 여성과 결혼하는 것에도 강하게 반대한 바 있다.

결국 올가와 표트르는 1914년에 별거에 들어갔고, 1916년에 정식으로 이혼이 성립되었다. 올가는 곧바로 니콜라이 쿨리코프스키와 귀천상혼을 통해 재혼했다. 첫 남편 표트르와의 사이에는 자녀가 없었다. 당시 제1차 세계 대전이 한창이었고 러시아 혁명의 기운이 고조되던 시기였기에, 황녀 신분의 여성이 평민 출신 남성과 결혼하는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로 받아들여졌다.

4. 전쟁과 혁명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올가는 간호사로 자원하여 적십자 병원에서 활동했다. 그녀는 최전선 근처인 로브노에 위치한 병원에서 부상당한 병사들을 헌신적으로 돌보았으며, 이러한 용기와 희생을 인정받아 성 게오르기 훈장을 수여받았다.

4. 1. 두 번째 결혼

어머니 마리아 황후와의 불화를 피할 목적으로 1901년 첫 남편인 표트르 알렉산드로비치 올덴부르크 공작(올덴부르크 공자 페터)과 결혼했지만, 두 사람 사이에는 성적인 관계가 전혀 없었다. 표트르는 주변에서 동성애자로 여겨질 만큼 여성에게 관심을 보이지 않았고 도박을 좋아했기에 올가는 그에게 실망했다. 결혼 2년 후, 올가는 군인이었던 니콜라이 쿨리코프스키를 만나 사랑에 빠졌다. 올가는 표트르에게 이혼을 요구했지만 거절당했고, 오빠인 니콜라이 2세 역시 종교적인 이유와 왕족의 스캔들이 될 수 있는 귀천상혼에 대한 반감 때문에 이혼을 반대했다. 니콜라이 2세는 동생 미하일이 평민 출신 여성과 결혼하는 것에도 강하게 반대한 바 있다.

그러나 결국 1914년 올가는 표트르와 별거에 들어갔고, 1916년 니콜라이 2세는 마침내 이들의 결혼을 무효화하며 이혼을 승인했다. 올가는 곧바로 니콜라이 쿨리코프스키와 재혼하여 귀천상혼을 했다. 당시 제1차 세계 대전이 한창이었고 러시아 혁명의 기운이 높아지던 시기였기에, 황녀 신분의 여성이 평민 출신 남성과 결혼하는 것은 매우 파격적인 일로 여겨졌다.

4. 2. 러시아 혁명

1917년 러시아 혁명이 발발하자 올가는 어머니 마리아 황후와 함께 크림에 유폐되었다. 그녀의 남편 니콜라이 크리코프스키는 군인이었으나, 새로운 정부는 그를 군에서 추방했다. 하지만 크리코프스키는 평민이었기에 아내 올가에 비해 어느 정도 자유가 주어져 식량을 구하거나 외부 소식을 접할 수 있었다. 유폐 생활 중 올가는 크리코프스키와의 사이에서 첫 아들 치혼(1917년 ~ 1993년)을 낳았다.[127] 이후 둘째 아들 구리(1919년 ~ 1984년)도 태어났다.

올가의 이모이자 영국 조지 5세 국왕의 어머니인 알렉산드라 왕대비는 여동생 마리아 황후와 그 가족을 크림에서 구출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 결과, 조지 5세는 전함 HMS 말보로를 크림에 파견하여 마리아 황후, 올가의 언니 크세니아 알렉산드로브나 여대공과 그 가족, 그리고 다른 러시아 황족 및 귀족들을 구출했다. 그러나 올가와 크리코프스키는 러시아에 남기를 원해 처음에는 출국을 거부했다. 하지만 볼셰비키 세력이 가까워지자 결국 노보로시스크에 있는 덴마크 영사관으로 피신했다. 이후 터키의 난민 캠프를 거쳐 세르비아 왕국베오그라드로 이주했다. 당시 세르비아의 알렉산다르 왕세자가 베오그라드에 거처를 제공했지만, 덴마크로 먼저 망명한 어머니 마리아 황후의 요청에 따라 이를 거절하고 덴마크로 향했다.[128]

5. 망명 생활

1917년 러시아 혁명이 발발하자 올가는 어머니 마리아 황후와 함께 크림에 유폐되었다. 남편 니콜라이 크리코프스키는 군인이었으나 신정부에 의해 군에서 쫓겨났다. 다만 평민이었기에 비교적 자유롭게 식량을 구하거나 외부 소식을 접할 수 있었다. 올가는 크림에 머무는 동안 남편과의 사이에서 두 아들, 치혼(1917년 출생)과 구리(1919년 출생)를 낳았다.

영국에 있던 이모할머니, 즉 어머니 마리아 황후의 언니인 알렉산드라 왕대비는 여동생 가족의 구출을 위해 노력했고, 그녀의 아들인 영국 국왕 조지 5세는 군함 HMS 말보로를 크림에 파견했다. 올가와 다른 황족들은 이 배를 타고 크림을 탈출할 수 있었다. 처음 올가 부부는 러시아에 남기를 원했으나, 볼셰비키 세력이 가까워지자 결국 노보로시스크덴마크 영사관을 통해 탈출했다. 이후 터키의 난민 캠프를 거쳐 세르비아 왕국베오그라드로 이동했다. 세르비아의 알렉산다르 왕세자가 베오그라드에 거처를 제공하겠다고 제안했지만, 이미 덴마크에 가 있던 어머니 마리아 황후의 요청으로 이를 거절하고 덴마크로 향했다.[128]

영국에서 잠시 어머니와 함께 알렉산드라 왕대비를 만난 후, 올가는 어머니의 고국인 덴마크 코펜하겐에 정착하여 어머니와 함께 살게 되었다. 이로써 올가의 기나긴 망명 생활이 시작되었다. 어머니와의 관계, 이후의 덴마크 생활 및 캐나다 이주 등은 이후의 삶에서 이어진다.

5. 1. 안나 앤더슨과의 만남

1925년, 올가는 남편 니콜라이 크리코프스키와 함께 베를린을 방문했을 때 안나 앤더슨을 만났다. 앤더슨은 자신이 러시아 혁명 당시 처형당한 것으로 알려진 니콜라이 2세의 막내딸 아나스타샤 니콜라예브나라고 주장하는 인물이었다. 당시 올가의 어머니 마리아 황후는 망명 생활 중이었고, 올가는 어머니를 대신하여 스스로 '황실의 생존자'라고 주장하는 여러 사람들을 만나 진위를 확인하는 역할을 하기도 했다. 올가는 안나 앤더슨을 만났을 때 처음에는 그녀를 조카 아나스타시야와 동일인물이라고 인정했지만, 나중에는 이를 부인했다.

5. 2. 덴마크에서의 삶

러시아 혁명 이후 크림에 유폐되었던 올가는 어머니 마리아 황후와 함께 영국의 도움으로 탈출했다. 처음에는 러시아에 남으려 했으나, 볼셰비키의 위협이 커지자 노보로시스크덴마크 영사관을 통해 탈출하여 터키의 난민 캠프를 거쳐 세르비아베오그라드로 이동했다. 세르비아의 알렉산다르 왕세자가 거처를 제공하겠다고 제안했지만, 이미 덴마크에 가 있던 어머니 마리아 황후의 요청으로 덴마크행을 택했다.[128]

영국에서 잠시 머물며 알렉산드라 왕대비를 만난 후, 올가는 어머니의 고국인 덴마크 코펜하겐에 정착하여 어머니와 함께 살았다. 그러나 마리아 황후는 올가의 두 번째 남편인 Nikolai Kulikovsky|니콜라이 크리코프스키영어를 탐탁지 않게 여겼다. 크리코프스키 역시 군인으로서의 역할을 찾지 못하고 주변으로부터 아내의 부속품처럼 취급받으면서 올가와의 관계는 점차 소원해졌다. 마리아 황후는 망명 생활 중 의지할 곳 없는 올가를 거의 하녀처럼 대하기도 했으나, 올가는 이를 어머니의 노령 탓으로 여기며 인내했다.[129]

1925년, 올가는 남편과 함께 베를린을 방문했을 때 자신이 아나스타샤 니콜라예브나라고 주장하는 안나 앤더슨을 만났다. 올가는 황실의 생존자라고 주장하는 이들을 여러 차례 만나왔는데, 안나 앤더슨에 대해서는 처음에는 조카일 가능성을 인정하는 듯 보였으나 결국에는 그녀의 주장을 부인했다.

어머니 마리아 황후가 세상을 떠난 후, 올가는 남편 크리코프스키와 함께 코펜하겐 교외의 농장으로 이주하여 생활했다. 이후 1948년, 올가는 남편과 두 아들과 함께 캐나다 토론토 근교로 이주하여 여생을 보냈다. 그곳에서 비교적 조용한 삶을 살다가 1960년에 사망했다. 생전에는 검소한 생활을 유지했지만, 사후에는 상당한 규모의 재산을 남긴 것으로 알려졌다.[130]

5. 3. 캐나다로의 이주

어머니 마리아 황후가 사망한 후, 올가는 남편 니콜라이 크리코프스키와 함께 덴마크의 교외 농장으로 이주했다. 이후 1948년, 올가는 남편과 두 아들과 함께 캐나다로 이주하여 토론토 근교에 정착했다. 올가는 캐나다에서 검소한 생활을 이어갔으며, 1960년에 사망했다. 사망 당시 막대한 재산을 남긴 것으로 알려져 있다.[130]

6. 죽음과 유산

올가는 1960년 캐나다 토론토에서 78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토론토의 요크 묘지에 남편 니콜라이 쿨리콥스키와 함께 안장되었다. 생전에 수천 점의 그림을 남긴 예술가로도 알려져 있으며, 주로 평화로운 분위기의 풍경화정물화를 그렸다.

6. 1. 예술 활동

올가는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세르기예프스카야 거리 46번지(현재 차이콥스키 거리Улица Чайковского (Санкт-Петербург)|울리차 차이콥스코보 (상트페테르부르크)ru)에 있는 궁전에 거주할 당시, 자신만의 미술 스튜디오를 가지고 있었다.[28] 또한 그녀는 강한 정교회 신앙을 바탕으로, 자신이 지원하는 자선 활동에 배포할 종교적인 성화를 직접 제작하기도 했다.[31]

참조

[1] 서적 Vorres
[2] 서적 Phenix
[2] 서적 Vorres
[3] 서적 Vorres
[4] 서적 Harcave
[5] 서적 Phenix
[6] 서적 Vorres
[7] 서적 Vorres
[8] 서적 Phenix
[8] 서적 Vorres
[9] 서적 Vorres
[10] 서적 Phenix
[10] 서적 Vorres
[11] 서적 Vorres
[12] 서적 Vorres
[13] 서적 Phenix
[13] 서적 Vorres
[14] 서적 Vorres
[15] 서적 Phenix
[15] 서적 Vorres
[16] 서적 Vorres
[17] 서적 Phenix
[17] 서적 Vorres
[18] 서적 Vorres
[19] 웹사이트 Kulikovsky-Romanoff http://history-gatch[...]
[20] 서적 Belyakova
[21] 서적 Belyakova
[22] 서적 Vorres
[23] 서적 Phenix
[24] 서적 Belyakova
[25] 서적 Vorres
[25] 서적 Massie
[26] 서적 Vorres
[27] 서적 Phenix
[28] 서적 Belyakova
[29] 서적 Vorres
[30] 서적 Vorres
[31] 웹사이트 Kulikovsky-Romanoff http://history-gatch[...]
[32] 서적 Vorres
[33] 서적 Belyakova
[34] 서적 Crawford and Crawford
[34] 서적 Phenix
[34] 서적 Vorres
[35] 서적 Phenix
[35] 서적 Vorres
[36] 서적
[37] 서적
[38] 서적
[39] 서적
[40] 서적
[41] 서적
[42] 서적
[43] 서적
[44] 서적
[45] 서적
[46] 서적
[47] 서적
[48] 서적
[49] 서적
[50] 서적
[51] 서적
[52] 서적
[53] 서적
[54] 서적
[55] 서적
[56] 서적
[57] 서적
[58] 서적
[59] 서적
[60] 서적
[61] 서적
[62] 서적
[63] 서적
[64] 서적
[65] 웹사이트 Kulikovsky-Romanoff http://history-gatch[...]
[66] 서적
[67] 서적
[68] 서적
[69] 서적
[70] 서적
[71] 인용 Olga quoted in Vorres, p. 176
[72] 인용 "My nieces knew no German at all. Mrs. Anderson did not seem to understand a word of Russian or English, the two languages all the four sisters had spoken since babyhood.": Olga quoted in Vorres, p. 174
[73] 문헌 Klier and Mingay, p. 156; Vorres, p. 176
[74] 문헌 Klier and Mingay, p. 102; Massie, p. 174; Phenix, p. 155
[75] 편지 Letter from Olga to [[Herluf Zahle]], 31 October 1925, quoted in Kurth, p. 119, but with a proviso that the original letter has never been seen
[76] 편지 Letter from Olga to Colonel Anatoly Mordvinov, 4 December 1925, ''Oberlandesgericht'' Archive, Hamburg, quoted in Kurth, p. 120
[77] 편지 Olga wrote in a letter to [[Tatiana Melnik]], 30 October 1926, Botkin Archive, quoted in Kurth, p. 144; and a letter dated 13 September 1926 quoted in von Nidda, pp. 197–198: "However hard we tried to recognize this patient as my niece Tatiana or Anastasia, we all came away quite convinced of the reverse." In a letter from Olga to [[Princess Irene of Hesse and by Rhine|Princess Irene]], 22 December 1926, quoted in von Nidda, p. 168, she wrote, "I had to go to Berlin last autumn to see the poor girl said to be our dear little niece. Well, there is no resemblance at all, and it is obviously not Anastasia ... It was pitiful to watch this poor creature trying to prove she was Anastasia. She showed her feet, a finger with a scar and other marks which she said were bound to be recognized at once. But it was Maria who had a crushed finger, and someone must have told her this. For four years this poor creature's head was stuffed with all these stories ... It has been claimed, however, that we all recognized her and were then given instructions by Mama to deny that she was Anastasia. That is a complete lie. I believe this whole story is an attempt at blackmail."
[78] 문헌 Klier and Mingay, p. 102; Vorres, p. 177
[79] 인용 Olga quoted in Vorres, p. 177
[80] 뉴스 ''National Tidende'', 16 January 1926, quoted in Klier and Mingay, p. 102 and Phenix, p. 155 1926-01-16
[81] 증언 "I can swear to God that I did not receive before or during my visit to Berlin, either a telegram or a letter from my sister Xenia advising that I should not acknowledge the stranger.": Sworn testimony of Grand Duchess Olga, Staatsarchiv Hamburg, File 1991 74 0 297/57 Volume 7, pp. 1297–1315, quoted in Phenix, p. 238
[82] 편지 "They state that we all recognized her and that we then received an order from Mama to say that she is not Anastasia. This is a great lie!": Letter from Olga to Princess Irene, quoted in Klier and Mingay, p. 149
[83] 문헌 Phenix, p. 238
[84] 편지 Xenia to Michael Thornton, quoted in a letter from Thornton to Patricia Phenix, 10 January 1998, quoted in Phenix, pp. 237–238 1998-01-10
[85] 문헌 Phenix, p. 168; Vorres, p. 185.
[86] 문헌 Hall, p. 58.
[87] 문헌 Phenix, p. 170.
[88] 서적 Kirkebog
[89] 문헌 Vorres, p. 186.
[90] 문헌 Phenix, p. 174.
[91] 문헌 Phenix, p. 176
[92] 문헌 Phenix, p. 176; Vorres, p. 187.
[93] 웹사이트 Kulikovsky-Romanoff, p. 6 http://history-gatch[...]
[94] 문헌 Phenix, p. 178.
[95] 문헌 Phenix, p. 179.
[96] 문헌 Phenix, pp. 179–180; Vorres, pp. 187–188.
[97] 인용 Mr. J. S. P. Armstrong, Agent General for Ontario, quoted in Vorres, p. 191.
[98] 문헌 Vorres, pp. 188, 190
[99] 문헌 Vorres, p. 193
[100] 문헌 Vorres, p. 196
[101] 문헌 Vorres, pp. 196–198
[102] 뉴스 Allison Farm in Nassagaweya Is for Russian Nobility https://news.milton.[...] 1948-07-15
[103] 문헌 Vorres, pp. 207–208
[104] 문헌 Phenix, pp. 205–206; Vorres, p. 209
[105] 문헌 Phenix, p. 207; Vorres, p. 210
[106] 서적
[107] 서적
[108] 서적
[109] 서적
[110] 서적
[111] 서적
[112] 서적
[113] 서적
[114] 서적
[115] 서적
[116] 서적
[117] 서적
[118] 서적
[119] 서적
[120] 웹인용 After the Splendor... The Art of the Last Romanov Grand Duchess of Russia http://www.si.edu/oa[...] 2013-03-09
[121] 웹인용 Kulikovsky-Romanoff http://history-gatch[...]
[122] 웹인용 Kulikovsky-Romanoff http://history-gatch[...]
[123] 서적
[124] 웹인용 Majestic Artist: 125th birth anniversary of Grand Duchess Olga Alexandrovna http://www.rusmuseum[...] Russian State Museum 2013-03-09
[125] 웹인용 Exhibition of Grand Duchess Olga Alexandrovna's Watercolours Opens in Vladivostok http://www.angelfire[...] Royal Russia News 2013-03-09
[126] 웹인용 Ballerup Museum http://www.ballerupm[...] 2013-03-09
[127] 서적 アナスタシア―消えた皇女 角川文庫
[128] 웹사이트 http://history-gatch[...]
[129] 서적 アナスタシア―消えた皇女
[130] 서적 Olga Romanov: Russia's Last Grand Duchess Viking/Penguin 199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